티스토리 뷰
이 포스팅은 내몸사용설명서를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
폐 고혈압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혈압과 많이 다릅니다. 전신 순환계의 고혈압과는 무관하게 생기며, 오직 폐 순환계, 폐혈관에서만 생기는 고혈압
심장과 폐 사이 '폐동맥'에서 높아지는 혈압.
폐동맥의 압력 25mmHg 이상일 때 '폐 고혈압'이 진단이 됩니다.
Q. 일반 고혈압은
140mmHg 이상인데 반해,
어떻게 25mmHg 이상이 '폐 고혈압'이 되나요?
우측 심장에서 폐로 이어지는 혈관은 약 10cm 폐동맥 하나 입니다.
그래서 전신으로 혈액이 나가는 좌측 심장과 달리, 약한 압력인 25mmHg 압력에 맞춰져 있습니다.
증세가 심하고 치료하기 어려운 중증 폐 고혈압일 경우 , 암세포가 온 몸에 퍼지면서 여러 장기의 이상을 유발하듯이 심장 간, 콩팥 등 특히 순환기 계통의 기능이 떨어뜨린다. 그래서 폐 고혈압은 '순환기의 암'이라고도 불립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진단 후 3년 생존율은 약 50%
하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하게 치료한다면 1년 이상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
폐 동맥 전조 증상
< 부은 발목, 검은색 변, 파란 입술 >
1. 발목 부종
우심실 기능이 약화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특히 폐 고혈압은 하지 부종이 발생
2. 파란 입술
폐의 혈관을 통해서 공급된 혈액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교환해 줘야 하는데
산소 교환이 부족하면 입술이 파랗게 보인다.
3. 검은색 변
폐혈관에 문제가 생기면 2차적으로 심장과 간 기능이 저하되며, 위장관 출혈로 붉은색 혈액이 위산과 반응해 검게 변색된다.
*머리카락 빠짐은 폐 고혈압과는 관련이 없는 증상입니다*
치료 방법
약으로 못 고칠 경우에는,
'장기 이식'이 마지막 방법이다.
심장과 폐는 밀접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에
심장과 폐 모두 이식받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는 공여자가 부족해서 한쪽 또는 양쪽 폐를 이식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폐 장기 이식 자체가 공여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식을 받으려면 보통 2~3년 정도 대기해야한다.
하지만 폐 이식 수술이 성공할 경우, 새로 이식받은 장기에 잘 적응 한다면, 폐동맥 고혈압은 재발되는 경우가 없다.
이식 후 꾸준히 관리를 잘하면, 생존율은 3배 이상 높아진다.
폐 고혈압 환자들이 하지 말아야 할 행동
1. 비행기 탑승 - O 가능
항공 내부의 압력이 적절히 유지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도가 많이 올라가지 않는 국내선의 경우 주치의와 상의 후 탑승 가능
장시간의 경우에는 압력의 변화로 호흡곤란 유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치의와 반드시 상담이 필요하며, 항공사에 따라 소견서 제출을 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2. 임신과 출산 - X
임산부와 태아 모두의 혈액량을 심장에서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금지하고 있다.
폐 고혈압 환자의 경우 임신 시, 두 명 중 1명은 사망한다는 통계도 있다.
3. 사우나 - X
혈관의 수축, 이완 기능이 상실된 상태여서 급격한 온도 변화가 위험하다.
목욕은 약 15분 이내, 욕조에 몸을 담그는 시간은 약 5분 이내가 적당하다.
4. 물을 많이 마시기 - X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면 혈액량이 늘어나고, 좁아진 혈관에서 혈액을 보내고 받아 심장에 큰 부담을 주게 됨
5. 등산 - X
몸에 산소가 부족하면 폐혈관이 수축하여
폐동맥 압력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곳에 계속 올라가야 하는 운동은 피해야 할 행동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TV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수증 증상, 척수증 원인, 척수 손상 확인 방법, 척수증 수술 (0) | 2021.03.03 |
---|---|
[EPS명의] 호흡기 건강을 위한 생활수칙 (0) | 2019.10.19 |
[EBS명의]천식 원인, 천식 특징, 천식과폐질환 차이점, A-CO 중복증후군 (0) | 2019.10.18 |
[EBS명의] 흡연, 미세먼지가 폐에 미치는 영향 (침묵의 살인자) (0) | 2019.10.17 |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이란? 진단방법, 치료방법 (0) | 2019.10.16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