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 포스팅은 EBS명의 148회 <그런 뇌전증은 없다>를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2010년 간질에서 뇌전증으로 병명 변경
■뇌전증은 불치병이다? 더이상 불치병이 아니다.
■뇌전증은 유전 질환이다?
아이들에게 뇌전증이 발병하면 대부분 유전질환이라고 쉽게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말이다. 사람들이 신천성이라고 하면 전부 유전이다. 라고 생각하는데, 선청성이라는 말은 분만 전후, 태어나면서부터 가졌던 어떤 뇌의 변이 때문에 생기는 병을 이야기하는 것이지, 엄마가 병을 가지고 있어서 아이한테 유전된다. 그런 의미하고 다르다.
■뇌전증 환자들이 겪는 차별
■뇌전증 환자 발작시 대처방법
1. 호흡 유지와 신체 보호
2. 호흡을 돕기 위해 몸을 옆으로 뉘워 기도 확보 후 침이나 토사물이 흘러나오게 한다.
3. 발작을 멈추게 할 의도로 발작시 꽉 잡거나 붙들지 않는다.
4. 경련 멈춘 후 호흡과 맥박 확인
경련은 2~3분 내에 저절로 멈춰야 하는데 멈추지 않는 환자들이 간혹 있다. 그런 경우에는 빨리 응급실로 환자를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약을 거르다 재발하는 환자들이 많다. 약을 빠트리지 않고 계속 복용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뇌전증 환자들은 언제까지 약을 복용해야 할까?
뇌전증 치료법
■케톤 생성 식이요법 : 영유아들에게 사용하는 치료법
이러한 지방대사과정에서 케톤이 생성되는데, 뇌가 케톤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되면 경련이나 발작이 줄어든다.
영유아들에게 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지 케톤 요법으로 왜 발작을 줄이는지, 그 원리를 밝히지는 못했다. 하지만 음식 조절이 가능한 신생아들에게 케톤 생성 식이요법은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 뇌량 절제술
■미주 신경 자극술
수술은 왼쪽 목부위를 절개해 미주신경 옆으로 전극선을 삽입한다. 이후 가슴 부위에 자극 발생부위에 연결하고 미주 신경에 전극선을 연결한다. 자극 발생기를 통해 미주 신경에 미세한 전기 자극을 주면 뇌에 신호가 전달돼 발작을 일으키는 횟수와 강도가 줄어들게 된다. 효과는 수술 받은 환자 중의 50%이다.
- 미주 신경 : 뇌 신경의 하나로 부교감 신경에 속하고 지각, 운동, 분비를 관장하는 중요 신경.
우리나라 인구의 1%인 50만 명이 뇌전증을 앓고 있다. 해마다 3만 명의 뇌전증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 명의 :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전문의 이상암 교수, 소아신경외과 전문의 김동석 교수
2010년 간질에서 뇌전증으로 병명 변경
■뇌전증은 불치병이다? 더이상 불치병이 아니다.
■뇌전증은 유전 질환이다?
아이들에게 뇌전증이 발병하면 대부분 유전질환이라고 쉽게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말이다. 사람들이 신천성이라고 하면 전부 유전이다. 라고 생각하는데, 선청성이라는 말은 분만 전후, 태어나면서부터 가졌던 어떤 뇌의 변이 때문에 생기는 병을 이야기하는 것이지, 엄마가 병을 가지고 있어서 아이한테 유전된다. 그런 의미하고 다르다.
■뇌전증 환자들이 겪는 차별
■뇌전증 환자 발작시 대처방법
1. 호흡 유지와 신체 보호
2. 호흡을 돕기 위해 몸을 옆으로 뉘워 기도 확보 후 침이나 토사물이 흘러나오게 한다.
3. 발작을 멈추게 할 의도로 발작시 꽉 잡거나 붙들지 않는다.
4. 경련 멈춘 후 호흡과 맥박 확인
경련은 2~3분 내에 저절로 멈춰야 하는데 멈추지 않는 환자들이 간혹 있다. 그런 경우에는 빨리 응급실로 환자를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약을 거르다 재발하는 환자들이 많다. 약을 빠트리지 않고 계속 복용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뇌전증 환자들은 언제까지 약을 복용해야 할까?
뇌전증 치료법
■케톤 생성 식이요법 : 영유아들에게 사용하는 치료법
이러한 지방대사과정에서 케톤이 생성되는데, 뇌가 케톤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되면 경련이나 발작이 줄어든다.
영유아들에게 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지 케톤 요법으로 왜 발작을 줄이는지, 그 원리를 밝히지는 못했다. 하지만 음식 조절이 가능한 신생아들에게 케톤 생성 식이요법은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 뇌량 절제술
■미주 신경 자극술
수술은 왼쪽 목부위를 절개해 미주신경 옆으로 전극선을 삽입한다. 이후 가슴 부위에 자극 발생부위에 연결하고 미주 신경에 전극선을 연결한다. 자극 발생기를 통해 미주 신경에 미세한 전기 자극을 주면 뇌에 신호가 전달돼 발작을 일으키는 횟수와 강도가 줄어들게 된다. 효과는 수술 받은 환자 중의 50%이다.
- 미주 신경 : 뇌 신경의 하나로 부교감 신경에 속하고 지각, 운동, 분비를 관장하는 중요 신경.
우리나라 인구의 1%인 50만 명이 뇌전증을 앓고 있다. 해마다 3만 명의 뇌전증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 명의 :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전문의 이상암 교수, 소아신경외과 전문의 김동석 교수
'TV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속 건강정보]척추종양,손목터널증후군,자가진단법,혈액투석환자 (0) | 2018.09.28 |
---|---|
[TV속 건강정보]손이 저리고 아프다 (1) | 2018.09.19 |
[TV속 건강정보]뇌전증,증상,원인 (0) | 2018.09.17 |
[TV속 건강정보] 경추질환 치료법 (0) | 2018.09.16 |
[TV속 건강정보] 목뒤가아파요, 목이아파요 (0) | 2018.09.16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