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 포스팅은 EBS 명의  223회 <삶을 앗아간다, 식도암>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EBS명의는 제가 제일 좋아하는 프로그램이에요. 건강에 대해서 소홀히 하기 쉬운데 프로그램 보면서 많은 걸 알 수 있습니다.

제가 평소에 걱정했던 건강부위, 가족이나 주위 지인분들에 나타나는 증상이 궁금해서 더 자주 보게 되네요^^


■식도의 기능과 역할
식도는 인두와 위를 잇는 긴 관으로 입으로 들어오는 음식물을 연동운동을 통해 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식도의 양 끝에는 근육층으로 이루어진 괄약근이 있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식도 내로 음식물을 받아들이고 위로 넘어간 음식물의 역류를 막는다.

음식물이 위로 넘어가게 되면 위에서 산을 분비하여 소화를 일으키는데

식도의 기능이 떨어져 음식물이나 위액이 식도로 역류하게 되면 식도는 위산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고 여러가지 식도 질환에 노출된다.




■역류성 식도질환의 증상
역류성 식도염 : 단단하게 조여있어야할 식도하부 괄약근이 느슨해졌고, 그 틈으로 위액이 계속 역류하면서 위산에 의해 식도의 점막이 손상된다. 여기에 식도 조직까지 변형되면서 통증이 불러온다.
정상 괄약근(↓)

느슨해진 괄약근(↓)

위액 역류(↓)




■위식도 역류질환의 원인
역류성 식도염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먼저, 위의 배출 기능이 저하될 경우 음식이 위에 오래 머물면서 역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소화과정 중 자연스럽게 역류된 위산을 식도가 제대로 내려보내지 못해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흔한 이유는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하부식도괄약근이 느슨해져 위에 있어야할 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으로 재발이 가장 잦은 유형이기도 하다.




■위산분비억제제의 작용
역류성 식도염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약은 대부분 위산분비억제제다.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식도를 따라 내려간 음식물은 위에서 분비되는 위액과 섞여 소화가 일어나게 된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 위산에 의해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데 위산분비억제제는 위산이 분비되는 입구를 차단, 위샘에서의 위산분비를 막는다. 이때 막힌 위샘은 다시 열리지는 않지만 약 18시간 이내에 새로운 입구를 만나기 때문에 약효의 효능은 최장 24시간 정도다. 위산분비억제제의 경우 효과가 좋은 편이지만 장기간 복용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복용 기간은 의사와 상담을 통해 복용해야 한다.


* 식도암 명의 : 소화기내과 전문의 이풍렬 교수,흉부외과 전문의 김용희 교수, 소화기 내과 전문의 정훈용 교수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